2월, 2012의 게시물 표시

[청구야담][18th]못된 귀신을 물리친 관찰사(毁淫祠邪鬼乞命)

이미지
  문경새재 산마루에 온갖 잡신들을 모신 사당이 있었는데, 그 효험이 꽤 영험했다. 산 주변 마을을 다스리는 이들이 이 곳을 지날 때면 반드시 가마에서 내려 절을 한 뒤, 돈을 모아 신들에게 굿을 해야 했다. 그렇게 하지 않은 사람은 반드시 나중에 이상한 재앙을 맞곤 했다. 그러던 와중 한 관찰사가 새재 너머의 마을에 부임하게 되었다. 그는 성품이 강하고 과단성이 있어서, 무슨 화를 입을까 두려워한 적이 없었다. 그가 새재를 넘다 사당 앞에 도착하니, 아전들이 몰려들어 예전 사또들의 일을 이야기했다. 하지만 관찰사는 그런 요사스러운 짓은 말도 안 된다고 물리친 뒤 말을 타고 한달음에 그 곳을 지나갔다. 그런데 얼마 가지 못해 갑자기 바람이 세게 휘몰아치더니, 난데없이 비가 관찰사가 탄 가마에만 집중적으로 내렸다. 그 모습을 보자 주변 사람들은 귀신의 소행이라며 몹시 두려워했다. 관찰사는 마부에게 명령해 사당에 불을 지르라고 시키고, 명령을 거르스는 자들을 죽였다. 아랫 사람들이 마지못해 그 명령을 따라 사당을 태우니, 곧 사당은 싸늘한 재가 되었다. 관찰사는 그대로 새재를 내려와 문희관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다. 그런데 관찰사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명함을 내밀며 말했다. [나는 새재의 신이오. 새재 사당에서 제삿밥을 먹은지 100년이 넘었소. 그런데 당신은 예도 올리지 않은데다 내 집까지 태워버렸으니, 나는 당신의 맏아들을 죽여버릴 것이오.] 관찰사가 노인을 꾸짖으며 말했다. [요망한 귀신이 사당에 눌러 앉아 사람을 괴롭히니, 내가 왕명을 받들어 요사한 것을 제거했다. 이것은 내 직분인데 네가 감히 나를 협박해서 두려워하게 하려 하느냐!] 귀신은 화를 내며 가 버렸다. 그러자 주변에서 관찰사를 흔들어 깨우며 말했다. [큰 아드님께서 여행의 피곤함 때문에 병이 드셨는데, 갑자기 위독한 지경에 이르셨습니다!] 관찰사가 가서 아들을 보니 이미 숨을 거둔 뒤였다. 관찰사는 곡을 하고 아들의 염을 한 뒤, 곧 관청에 들어섰다. 그 날 밤 귀신이 또 관찰사의 ...

[청구야담][17th]원한을 달래준 김상공(檢巖屍匹婦解寃)

이미지
  상공 김아무개가 젊었을 때, 친한 친구 서너명과 함께 백연봉 아래에 있는 영월암에서 공부를 했다. 하루는 친구들이 다 집에 돌아가서 깊은 밤에 혼자 불을 켜고 책을 읽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여인이 곡하는 소리가 원망하는 듯 하소연하는 듯 영월암 뒤쪽 멀리서부터 들려오기 시작했다. 그 곡소리는 점점 가까이 다가와 창 밖에 와서 멈췄다. 공은 괴이하게 여겼지만 똑바로 앉아 흔들리지 않고 물었다. [밖에 있는 것은 귀신이오, 사람이오?] 그러자 밖에서 여인이 길게 한숨을 내쉬며 대답했다. [귀신입니다.] 공이 말했다. [그렇다면 어찌하여 귀신 주제에 감히 이승과 저승을 넘나드느냐?] 그러자 여인이 말했다. [제가 살아 있을 때 해결하지 못해 한이 된 것이 있는데, 어르신이 아니면 그 한을 풀어주실 분이 없을 것 같아 하소연하려고 왔습니다.] 공이 창문을 열고 밖을 보니 여인은 보이지 않고 공중에서 휘파람 소리만 나면서 말소리가 들렸다. [제 모습을 드러내면 공께서 놀라실까 두렵습니다.] 공이 말했다. [일단 네 모습을 드러내 보거라.] 공이 말을 마치자 눈 앞에 한 젊은 여인이 머리를 풀어헤치고 피를 흘리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공이 말했다. [그대는 무슨 원통한 일을 겪어서 내게 하소연하려는 것인가?] [저는 조정 관리의 딸로 아무개의 집으로 시집을 갔습니다. 그런데 결혼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남편이 요망한 계집에게 홀려서 저를 꾸짖고 때리더니 결국 그 여자의 꾀임에 넘어가 한밤 중에 저를 칼로 찔러 죽였습니다. 그리고 시체를 영월암 절벽 사이에 버린 것입니다. 그 사실을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남편은 우리 부모님에게마저 제가 바람이 나서 도망갔다고 거짓말을 했습니다. 제가 갑작스럽게 죽은 것도 슬픈데, 죽어서 오명까지 뒤집어 쓰니 이 원한은 저승에서도 도저히 잊을 수가 없습니다.] 공이 말했다. [네 사정이 비록 딱하기는 하지만 나는 그냥 선비일 뿐이다. 무슨 방법으로 원한을 풀어줄 수 있겠느냐?] 여인이 말했다. [공께서는 어느 해에 과거에 급제하실...

[청구야담][16th]이경류의 혼령이 나타나다(投三橘空中現靈)

  이경류가 병조좌랑이던 때 임진왜란이 터졌다. 당시 이경류의 둘째 형은 나라를 위해 붓을 내던지고 무관으로 일하고 있었다. 조방장 변기가 전쟁에 나서면서 이경류의 둘째형을 종사관으로 삼기 위해 임금님에게 허가를 받았다. 그런데 하필 이름을 잘못 써서 이경류의 이름이 올라가고 말았다. 둘째 형이 이경류에게 말했다. [내가 전쟁에 나서야 하는데, 이름이 네 이름으로 잘못 올라갔구나. 하지만 당연히 내가 전쟁에 나가야 옳을 것이다.] 그러자 이경류가 말했다. [이미 제 이름을 보고 임금님이 허가를 하셨으니 제가 가야합니다.] 이경류는 무구를 챙겨 어머님께 인사를 올리고 전장으로 나섰다. 하지만 변기가 영남에서 크게 패하고 죽어버려서, 장군을 잃은 진중은 무척 혼란스러웠다. 이경류는 순변사 이일이 상주에 있다는 말을 듣고 혼자 말을 타고 그 곳으로 가서 윤섬, 박호와 함께 이일의 밑에서 머물렀다. 이일의 군대가 전투를 치렀으나 형세가 불리하여 진이 함락되고 윤섬과 박호도 크게 다쳤다. 이경류가 진 밖으로 나가니 시종이 말을 끌고 이경류를 기다리고 있다 흐느끼며 아뢰었다. [주인님, 일이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서둘러서 이 말을 타고 서울로 돌아가셔야 합니다.] 이경류가 웃으며 말했다. [나라가 이렇게 위기에 처했는데 어찌 내가 죽지 않고 욕되게 살라고 하느냐?] 그리고 지필묵을 꺼내 부모님과 형제들에게 이별을 고하는 편지를 써서 도포자락 속에 감춘 뒤, 시종에게 그것을 전하라고 시켰다. 이경류가 말을 타고 적진 가운데로 향하려고 하자, 시종은 그를 껴안고 울면서 놓아주지를 않았다. 이경류가 말했다. [너의 정성이 갸륵하구나. 내가 네 말을 따라 서울로 돌아가겠다. 그런데 내가 지금 몹시 배가 고프니 밥을 좀 구해왔으면 좋겠구나.] 시종이 그 말을 믿고 주변 집을 돌아다니며 밥을 차려 돌아와보니 이경류는 이미 적진으로 향한 뒤였다. 시종은 적진을 바라보고 통곡하다가 이경류의 편지를 가지고 서울로 돌아갔다. 이경류는 적진에서 맨손으로 왜구를 쳐 죽이다 결국 상주 ...

[청구야담][15th]베옷 입은 노인의 영험한 예언(料倭寇麻衣明見)

  첨지 김윤신은 점술사 남사고와 친한 사이였다. 그런데 남사고의 집에 가면 언제나 베옷 입은 노인이 남사고와 점괘를 논하고 있었다. 노인이 말했다. [파란 옷과 나막신으로 나라 일을 알 수 있을 것 같소.] 남사고가 한참 생각하고 말했다. [그렇군요.] 노인이 또 말했다. [머지않아 반드시 전쟁이 있을 것이고, 임금이 궁궐을 떠나는 재앙이 이를 것이며, 서쪽 변방까지 가서야 겨우 도성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오.] 남사고가 또 한참을 생각하더니 말했다. [그렇군요.] 마지막으로 노인이 또 말했다. [두번째 들어올 때는 한강까지 오지 못할 것이오.] 남사고는 이번에도 한참을 생각하고 말했다. [과연 그 말이 맞습니다.] 김윤신이 옆에서 그 말을 주워 들었지만, 도저히 그 뜻을 알 수가 없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파란 옷과 나막신이 세상에 크게 유행하게 되었다. 옛날 우리나라에는 나막신이 없었는데, 임진왜란 직전에 나막신이 들어와 어른 아이를 가리지 않고 두루 신게 되었다. 또한 기자가 흰 옷을 입고 이 땅에 온 이래 우리나라에서는 모두 흰색 옷을 입었는데, 임진왜란 전에 흰 옷을 입지 못하게 금지하여 모두 파란 옷을 입었던 것이다. 임진년 여름이 되자 왜구가 우리나라 깊숙이 들어와서, 마침내 선조 대왕이 서울을 떠나게 되었다. 임금님의 가마가 의주에서 머무르다가 왜구가 평정된 후에야 서울로 돌아왔으니 과연 베옷 입은 노인의 말이 모두 들어 맞은 것이었다. 정유년이 되어 왜구가 다시 쳐들어와 서울이 혼란에 빠졌다. 그 당시 명나라 장군 양호가 우리나라에 와 있었다. 선조 대왕과 양호가 남대문에 나가서 조정의 여러 신하들과 적을 막아낼 방법을 논의하고 있었다. 김윤신도 그 때 음사 미관으로 임금님을 따라 맨 끝에 서 있다가, 피곤한 나머지 잠이 들었다. 그런데 비몽사몽간에 갑자기 크게 소리를 질렀다. [두번째는 한강을 넘지 못할 것이다!] 그 소리에 모든 조정의 신하들이 놀라고, 임금님마저 놀라서 물으셨다. [이게 무슨 소리인고?] 그래서 김윤신을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