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12의 게시물 표시

[청구야담][21st]모인(餉山果渭城逢毛仙)

이미지
  정조 대왕 때 1782년에서 1783년 사이에 영남 안찰사 김아무개가 가을에 순시를 하다가 함양에 도착해 위성관에 머물렀다. 안찰사는 심부름꾼들과 기생들을 모두 물러가게 하고, 방에서 혼자 잠을 잤다. 한밤 중 인적이 고요한데, 침실의 문이 슬쩍 열렸다가 닫히더니 똑똑 두드리는 소리가 났다. 김공이 잠에서 깨어나 물었다. [너는 누구냐? 사람이냐, 귀신이냐?] [저는 귀신이 아니라 사람입니다.] [그렇다면 깊은 밤에 다른 사람 하나 없는데 어찌 이렇게 수상하게 움직이는가? 혹시 나에게 무슨 할 말이라도 있는 것인가?] [간절히 아뢸 일이 있나이다.] 김공이 일어나서 사람을 불러 불을 켜려고 하자 그 사람이 말했다. [그러지 마십시오. 만약 제 모습을 보신다면 안찰사께서 틀림없이 놀라고 두려워하실 것입니다. 어두운 밤이라도 앉아서 이야기를 하는데는 별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김공이 말했다. [그대는 얼마나 괴상한 모습을 하고 있기에 불도 켜지 못하게 하는가?] [제 온 몸이 털투성이이기 때문입니다.] 가면 갈 수록 그 사람의 말이 괴이하였기에 김공이 다시 물었다. [그대가 과연 사람인가? 도대체 어떤 이유로 온 몸에 털이 나게 되었단 말인가?] [저는 원래 상주에 살던 우씨 성의 주서입니다. 중종 때 명경과에 급제하여 한양에서 벼슬을 얻은 뒤, 정암 조광조 선생의 제자가 되어 여러해를 배웠습니다. 그런데 스승께서 기묘사화 때 목숨을 잃으시고 여러 유생들이 잡혀갔지요. 저는 한양에서 도망쳤는데 만약 고향집으로 간다면 바로 잡혀들어갈 것 같아 지리산으로 갔습니다. 여러 날을 굶주리고 피곤한데다 난생 처음 골짜기에 들어갔기에 먹는 것마저 힘들었습니다.] 그는 잠시 숨을 고르고 말을 이었다. [물가변에 혹시 풀이라도 있으면 뽑아 먹었고, 산과일이 있으면 따 먹었습니다. 먹을 때는 배가 좀 부르는 것 같더니, 똥을 눌 때면 모두 설사로 쏟아져 나왔습니다. 이렇게 6개월 정도를 지냈더니 점차 온 몸에 털이 나기 시작하더니 그 길이가 몇 마디가 될 정도였습니다....

[청구야담][20th]산신이 지키려고 한 길지(假封塋山神護吉地)

  옛날 전의 이씨의 선조가 부모의 상을 당해 시체를 안치할 장소를 찾고 있었다. 그러던 도중 선산 옆에 있는 한 산이 밝고 모습이 수려하였으니 그 곳에 안장하기로 했다. 그런데 풍수가가 말했다. [이 땅이 매우 좋은 길지이나, 아직까지 무덤이 없는 것은 그 땅을 팔 때마다 번개가 치고 비가 내리는 흉한 일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씨는 그 이야기가 허무맹랑한 것이라 생각해 무시하고 시체를 그 곳에 묻기로 했다. 그런데 상여가 그 곳에 도착해 보니 시체를 묻으려고 한 곳에 이미 무덤이 우뚝 솟아 있었다. 그것을 본 손님들이 말했다. [어떤 나쁜 놈이 하룻밤 사이에 장지를 훔쳐 장사를 치뤘나봅니다! 이를 어찌하면 좋겠습니까!] 이씨는 한참 동안 속으로 깊게 생각을 하더니 입을 열었다. [이것은 분명 사람의 술수가 아닐 것이오. 한 번 무덤을 파봅시다.] 주위의 모든 사람이 천륜을 거스르는 행위라고 이씨를 말렸지만, 이씨는 고집을 피우며 말을 듣지 않았다. 무덤을 헐어보니 관이 하나 있었는데, 옻을 칠한 것이 마치 거울처럼 빛났다. 관 위에 놓인 깃발에는 [학생 고령 신공의 관] 이라고 붉은 글씨로 써 있었다. 이씨가 말했다. [과연 내가 짐작한 대로구나!] 이씨는 관을 들어 무덤 밖으로 꺼내고 그것을 도끼로 부쉈다. 안에는 사기 그릇 조각만 가득 차 있었는데, 햇빛을 받자마자 가루가 되어 순식간에 모두 사라졌다. 사람들이 축하하면서도 이상하게 여겨 질문을 하니, 이씨가 말했다. [내가 옛날부터 들었던 이야기가 있소. 산신이 땅을 너무 아끼면 사람에게 빼앗기지 않기 위해 일부러 이런 장난을 친다고 하더군요. 내가 어찌 그런 속임수에 넘어가겠습니까?] 말을 마치고 이씨는 아무런 근심 없이 장사를 지냈다. 지금도 전의 이씨 가문은 대대로 벼슬길에 올라 집안이 매우 융성하다.

[청구야담][19th]김역관과 천하일색(報重恩雲南致美娥)

  제독 이여송은 평양에서 왜구를 정벌했다. 그 때 이여송은 김씨 성을 가진 역관을 총애하였다. 김역관은 나이가 겨우 20세로, 꽃다운 용모에 미색이 흘러 넘쳤다. 이여송은 밤낮으로 그를 가까이 하며 잠시도 놓아주지 않으니, 임금이 왕비를 사랑하는 것도 그것만 못할 정도였다. 김역관이 무슨 말을 하던 반드시 들어주었으니, 그의 소원대로 되지 않은 것이 없었다. 이여송은 군대를 철수하여 명으로 돌아갈 때도 김역관을 데리고 갔다. 만주 봉황성 책문에 이르렀는데, 군량이 약속된 기일이 되도록 준비가 되지 않았다. 이여송은 크게 노하여 요동 통제사를 군법으로 다스리려 했다. 요동 통제사에게는 아들이 셋 있었는데, 첫째는 시랑 벼슬이고 둘째는 서길사였으며, 막내 아들은 신묘한 승려였다. 황제가 그 셋째 아들을 스승으로 모셔 대궐 안에 별관을 세워 그 곳에서 거하게 했다. 그 융숭함이 마치 당나라 숙종이 이필을 대하는 것 같았다. 요동 통제사가 군법으로 처벌당할 위기에 처했다는 것을 들은 세 아들들은 모두 요동까지 달려와 아버지를 구할 방법을 의논했다. 그 때 셋째 아들이 말했다. [형님들, 제가 소문을 들어보니 조선의 김씨 성을 가진 역관이 제독에게 총애를 받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역관이 말하는 것은 무조건 들어준다고 하니 그 역관을 만나 간곡하게 빌어봅시다.] 그리하여 세 아들은 함께 제독의 병영으로 가서 김역관을 만나게 해달라고 부탁했다. 김역관은 그 사실을 이여송에게 아뢰었다. [요동 통제사의 세 아들이 소인을 만나고 싶다고 하는데 어찌해야 하겠습니까?] 이여송이 말했다. [분명 자기 아버지의 목숨을 살려달라고 빌려는 것일게다. 하지만 저 셋은 명나라에서 벼슬 자리에 오른 귀한 이들이니, 외국의 하찮은 일개 역관인 네가 안 나갈 수는 없지 않느냐? 어서 나가 보거라.] 김역관이 나가자 세 아들은 한 목소리로 간청했다. [아버님이 변을 당하셔서 이대로는 살아날 방법이 없습니다. 부디 그대가 우리를 위해 제독에게 잘 아뢰어서 목숨이나마 살려주시면 평생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