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17의 게시물 표시

렛 미 인, 2008

이미지
  뱀파이어는 옛날부터 그 이름만으로 수많은 전설 속에 둘러싸여 있었고, 그 신비함은 현대에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물론 이미 수도 없이 많은 매체에서 피를 탐하는 이 종족을 다뤄왔고, 온갖 모습으로 변용되었습니다만.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뱀파이어, 흡혈귀라는 존재는 무언가 알 수 없는 판타지 속의 존재로 다가오곤 합니다. 낮보다 밤이 긴 북유럽이라면, 어쩌면 그런 환상이 아직도 살아남아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렛 미 인은 스웨덴의 작가 욘 린드크비스트가 처음으로 쓴 작품입니다. 8곳의 출판사에서 까인 끝에 겨우 출판할 수 있었고, 이후 큰 인기를 얻으며 영화화까지 이어졌다고 하네요. 국내에도 원작 소설이 출간되어 있으니, 흥미 있으신 분은 읽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영화는 기본적으로 상처 받은 두 사람의 엇갈리는 사랑 이야기입니다. 뱀파이어인 이엘리와 인간인 오스칼이 우연하게 만나는 것부터, 서로가 서로의 모든 것이 되기까지를 다루죠. 이 영화에서 묘사되는 뱀파이어는 강력한 힘을 지니고 있지만, 무척이나 고독한 존재입니다. 그리고 영원한 삶에 지쳐 있는 이엘리와, 현실 그 자체에 무너지고 있던 오스칼이 만나면서 두 사람의 운명은 뒤바뀌게 되죠. 영화의 제목인 렛 미 인은, 나를 들여달라는 뜻입니다. 북유럽 뱀파이어 전승에 따르면, 뱀파이어는 인간의 영역을 함부로 침입하지 못하는 존재입니다. 어디까지나 인간의 허락과 승인이 있어야만 그 영역을 침범할 수 있고, 그렇기에 온갖 감언이설과 유혹으로 인간이 스스로 초대하게 만들려 하죠. 이 전승을 떠올려보면, 사실 조금은 영화의 메세지가 다르게 보일 수도 있을 겁니다. 물론 그렇지 않더라도 이 사랑 이야기는 처음부터 뒤틀려 있지만요. 보여주는 것보다, 그 뒤에 숨겨진 것들에 더 몰두하게 되는 영화이기도 합니다. 이엘리는 어떻게 살아왔을까요? 이엘리와 그의 종복, 하칸은 어떻게 만나게 되었을까요? 잠깐씩 스쳐지나가는 모습들로 그저 추측할 뿐이지만, 그것 또한 많은 생각이 들게 할겁니다. 영화는 내내 ...

애나벨: 인형의 주인, 2017

이미지
 2014년 개봉했던 영화 "애나벨" 은 제임스 완이 제작한 영화 중 가장 평이 저조한 작품에 속할 겁니다. 물론 재정적으로는 40배를 남겨먹는 희대의 대박이었지만요. 아무튼간에 컨저링 1, 2가 성공을 거두며 아예 컨저링 유니버스를 구축할 생각을 먹은 제임스 완 입장에서는, 애나벨의 실패는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을 겁니다. 기왕 흥행도 대박을 쳤겠다, 프리퀄을 제대로 만들어서 시리즈의 유일한 오점을 덮어보고 싶었겠죠. 그래서 나오게 된 것이 바로 이번 영화, 애나벨: 인형의 주인입니다. 애나벨이 컨저링의 프리퀄이었다는 걸 감안하면 이 영화는 프리퀄의 프리퀄이라는 독특한 작품인 셈이네요. 감독은 "라이트 아웃" 에서 대중과 평단의 호평을 이끌어 냈던 데이비드 샌드버그 감독이 내정되었습니다. 전작이 말아먹을만큼 말아먹어놨으니, 이제 리바운딩만 남은 셈이었죠! 여기저기서 호평이 들려와서 저도 참 기대가 컸는데... 컸는데... 그게, 전작보다는 낫긴한데 말입니다... 컨저링 시리즈의 핵심 요소를 꼽으라면 악마의 빙의와, 그걸 내쫓기 위한 엑소시즘일 것입니다. 본편 시리즈인 컨저링 1, 2에서는 각자 치열하게 악마와 대결하는 워렌 부부의 모습이 그려지기도 했고요. 하지만 애나벨: 인형의 주인에서는 정작 그 엑소시즘 요소가 완전히 제거된 수준입니다. 뭔가 흉내를 내긴 하는데 아무 의미가 없어요. 제가 보기에는 악마 스스로도 자기가 왜 퇴치된건지 잘 모를 겁니다. 일각에서는 이번에 등장하는 악마가 사탄 그 자체가 아니냐는 언급이 있는데... 만약 그렇다고 치면 사탄은 아주 안일하거나 아주 무능하거나 둘 중 하나일 겁니다. 어쩌면 둘 다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드는군요. 더불어 애나벨이라는 영화 제목과는 달리, 애나벨이 딱히 큰 의미가 있었는지는 생각을 좀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차라리 힘을 여기저기 나눠쓰지 말고 한 곳에 집중했더라면 악마가 더 강력해보이고 위압감이 느껴졌을 겁니다. 마치 계란을 두 바구니에 담아뒀는데, 양쪽 계란이 천...

장산범, 2017

이미지
 2009년, 괴담 전문 블로그 "잠들 수 없는 밤의 기묘한 이야기" 에 실화괴담 한 편이 올라옵니다. http://thering.co.kr/1887 부산 장산에 산다는 미확인 생물체에 관한 이야기였죠. 이 이야기는 일파만파 퍼져나가면서 장산범이라는 이름을 얻었고, 이 생물체를 찾아나서는 사람들이 나올 정도로 유명세를 탔습니다. 웹툰에도 등장하고, 방송국에서 취재를 나오기도 했죠. 그리고 올해, 그 장산범을 주제로 한 영화가 개봉합니다. 사실 장산범 이야기는 애시당초 별로 매력적인 공포 소재가 아니었습니다. 처음 제보된 목격담은 하얀 털옷을 입고 있는 사람 같았다는 정도 내용이 끝이었으니까요. 사람들의 입을 타면서, 이런저런 설정들이 달라붙기 시작한 거죠. 박지원의 "호질" 에 등장하는 창귀처럼 죽은 이의 목소리를 흉내낸다는 것도 그렇고, 이름도 없던 것이 장산범이라는 이름까지 붙었고요. 결국 이 문제는 영화화 되면서도 발목을 잡는 본질적 문제로 남았습니다. 얼핏 흥미로워보이지만, 제대로 된 기반이 없고 어디서 빌려온 설정들로 이야기를 꾸려가야 하니까요. 영화의 전개는 목소리를 흉내내며 사람들을 꾀어내려드는 알 수 없는 존재의 공포와, 도플갱어가 오리지널의 자리를 빼앗으려드는 체인질링 느낌의 투-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이 두 이야기는 서로 전혀 연결되는 느낌이 나지가 않는 게 문제입니다. 애시당초 궤가 다른 이야기를 어떻게든 엮어보려고 후반부 들어 급격하게 설정이 붙기는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두 대상이 겹쳐보이지는 않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이것 또한 장산범에 대한 있는 이야기 없는 이야기 다 끌어쓰다보니 고육지책으로 나온 것이었겠죠. 허정 감독은 전작 "숨바꼭질" 에서 흥미로운 설정에도 불구하고, 스토리에서 다소 헐거운 모습을 보여준 바 있습니다. 장산범은 어떻게 보면 "숨바꼭질" 의 다운그레이드 버전으로 느껴질만큼 그와 비슷한 단점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두어번의 놀...